명리학

[스크랩] 6.천복귀인(天福貴人)

마음상자 2011. 7. 18. 02:36

 

 

 

6.천복귀인(天福貴人)

 

 

사주원국의 육신 중 정관이 십이운성 건록(健祿)에 앉아있는 것을 말하며 평생 권력의 수장이 될 수 있으며 사업자는 자수성가하여 명진사해(名振四海)하며 자식에게도 복록이 많다.

 

다만 정관은 일간을 극하는 육신이라 십이운성 건록에 앉지 못한다 할 것인데 이는 사주원국의 지지가 건록(健祿)에 앉아있고 그 위의 천간에 정관이 있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나아가 사주일간이 신왕하여 정관이 용신이 되고 건록지에 앉아 있다면 천복귀인의 장점을 발휘한다 하겠으나 그와 반대로 사주일간이 신약하여 정관이나 편관이 기신으로 작용한다면 천복귀인의 장점은 사라지고 재화가 속출하게 된다.

 

예제-1) 1955년 11월 15일 사시 (남자/음력)


편재             정관   식신                   67    57     47    37     27    17     7

 丁    癸        乙               辛   壬   癸   甲   乙   丙   丁

 巳    亥        未               巳   午   未   申   酉   戌   亥

상관   겁재    비견   편관


해설

癸일간 子월에 출생하여 득령/득지하여 신왕하니 일간 군주 癸水는 그 성정이 시비지심(是非之心)이라 지혜롭고 총명하며 사리가 분명한 성격임을 알 수 있다.


해설-1) 나아가 태어난 계절이 추운 겨울이라 조후법상 시급히 火氣가 필요하다 할 것인데 마침 시지/巳火와 시상/丁火가 투출하여 火氣를 충족시키고 있으니 일간 癸水는 천군만마를 얻는 것과 진배없다 할 것이다.


해설-2) 고로 신왕월지건록격이  성격하며 조후법 준한 재성 火氣를 용신하고 식상 木氣를 희신으로 삼는데 조토인 戌土/未土는 길신으로 삼는다.

 

이렇게 사주격국과 용신을 설정하고 사주원국을 자세히 살펴보니 일간과 시상의 丁-癸상충을 戊-癸合으로 다스리고 지지 또한 巳-亥상충을 亥-未合으로 해극하고 있으니 충으로 인한 탁기는 제거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정석이다.


더하여 월지/子水의 건록지에 월상 정관/戊土가 앉아 용신의 임무를 다하고 있다 할 것인데 이는 본장 천복귀인에 부합하는 것이라 그 진가를 유감없이 발휘하고도 남음이 있다.

 

 

포인트!

 

 

귀성(貴星)은 길성(吉星)이며 귀인(貴人)을 뜻하는데 특히 천복귀인(天福貴人)의 성질을 이

 

 

해하고 필히 사주원국의 육친과 용신/기신 관계를 대조하여 판단할 것이다.  

 

운암사주카페

http://www.unamsaju.com

 

 

출처 : 운암사주/명리학
글쓴이 : 운암 원글보기
메모 :